생활 정보(83)
-
2024년에 달라지는 정책들 : 소상공인•자영업자•농어민•창업벤처•산업단지
지난 8월 의결된 2024년도 예산안을 보면 4대 중점 분야에 과감히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는데요 4대 중점 분야는 약자 복지 강화, 미래준비 투자, 경제활력 제고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국가의 본질기능 뒷받침입니다.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예산안도 많이 바뀌는데, 기획재정부에서 제시한 새해 달라지는 내용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소상공인•자영업자 소상공인• 자영업자 냉방설비 설치, 개방형 냉장고 문달기 취약차주 고리(평균11%) 대출 저리(평균4%) 정책자금으로 대환 고용보험료 지원대상•비율 확대 2024년 고효율 냉난방설비 6.4만대 보급 이자비용 1인당 연 390만원 ↓ (총 1만명) 대상: 4만명 비율: 최대 80% 2023년 신규 신규 대상: 2.5만명 비율: 최대 50% 농어업 농어업 청년농 지원..
2023.12.19 -
2024년에 달라지는 정책들 : 사회적 약자편
지난 8월 의결된 2024년도 예산안을 보면 4대 중점 분야에 과감히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는데요 4대 중점 분야는 약자 복지 강화, 미래준비 투자, 경제활력 제고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국가의 본질기능 뒷받침입니다. 저소득층,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들에 더욱 많은 혜택이 바뀐다고 하는데, 기획재정부에서 제시한 새해 달라지는 내용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저소득층 저소득층 생계급여 주거급여 최대 급여액 (4인가구 기준) 지원대상 (중위소득) 최대 급여액 (서울 4인가구 기준) 지원대상 (중위소득) 2024년 월183.4만원 (+21.3만원, 13.2% ▲) 32% 이하 (+3.9만 가구, 신규지원) 월 52.7만원 (+1.7만원) 48%이하 (+2만 가구 신규 지원) 2023년 월162만원 30% 이하 ..
2023.12.19 -
2024년에 달라지는 정책들 : 어르신편
지난 8월 의결된 2024년도 예산안을 보면 4대 중점 분야에 과감히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는데요 4대 중점 분야는 약자 복지 강화, 미래준비 투자, 경제활력 제고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국가의 본질기능 뒷받침입니다. 노인일자리 창출, 기초연금 확대, 보훈의료 환경개선 등 어르신들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바뀌는데 기획재정부에서 제시한 새해 달라지는 내용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일자리 노인 일자리 노인일자리 수당 6년만에 월 +2~4만원 인상 노인일자리 수 공익형 (교통도우미, 보육시설 봉사 등) 사회서비스형 (학습보조, 공공행정 지원 등) 2024년 월 29만원 (30시간) 월 63.4만원 (60시간) 103만명(+14.7만명) (노인인구의 10.3% 수준) 2023년 월 27만원 월 59.4만원 88..
2023.12.18 -
2024년에 달라지는 정책들 : 가족편
지난 8월 의결된 2024년도 예산안을 보면 4대 중점 분야에 과감히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는데요 4대 중점 분야는 약자 복지 강화, 미래준비 투자, 경제활력 제고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국가의 본질기능 뒷받침입니다. 가족과 관련된 예산안 중 새해 달라지는 내용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양육비 경감 양육비 경감 둘째 이상 자녀 출산시 첫만남이용권 지원금액 0~1세 자녀 양육 가구 부모급여 미숙아•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지원 소득요건 0세 1세 2024년 300만원 100만원/월 50만원/월 폐지 2023년 200만원 70만원/월 35만원/월 중위 180% 보육 인프라 보육 인프라 0~2세반 어린이집 지원 어린이 휴일(~최소 18시)• 야간(~최소 24시) 진료 2024년 정원 미달시에도 정원기준 지원 (단,..
2023.12.18 -
2024년에 달라지는 정책들 : 청년편
지난 8월 의결된 2024년도 예산안을 보면 4대 중점 분야에 과감히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는데요 4대 중점 분야는 약자 복지 강화, 미래준비 투자, 경제활력 제고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국가의 본질기능 뒷받침입니다. 기획재정부에서 제시한 새해 달라지는 내용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취약 청년 취약 청년 가족돌봄 청년 고립은둔 청년 가족돌봄서비스바우처 기간확대(월 70만원) 신체•정신건강 개선 자기돌봄비 방문상담, 공동생활 경험 가족관계회복 등 지원 2024년 12개월 분기당 50만원 (연최대 200만원 지원) 청년 320명, 가족 640명 2023년 6개월(하반기 시행) 신규 신규 자립기반 자립기반 자립수당 (18세 이후 보호종료 청년) NEET 청년 플랫폼 첨단산업 훈련지원 빈일자리 취업 장려금 (조..
2023.12.18 -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제도' 대상 : 경제적 부담을 줄여줍니다.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제도'는 고액의 비용과 장기간의 치료가 요구되는 중증질환자, 희귀 질환자, 중증난치질환자 같이 본인 진료비 부담이 큰 환자분들에게 본인 부담률을 줄여주는 제도입니다 특례지원 대상자 특례지원 대상자 진료내용 본인부담률 중증질환자 산정특례 암환자가 등록일로부터 5년간 상병코드(C00~C97, D00~D09, D32~D33, D37~D48)로 진료 시 요양급여비용총액의 100분의 5 만큼 본인이 일부 부담 희귀질환자 산정특례 환자가 희귀질환자 산정특례 대상 질병에 해당할 경우 등록일로부터 5년간 해당 상병으로 진료 시 요양급여비용총액의 100분의 10만큼 본인이 일부 부담 중증난치질환 산정특례 환자가 중증난치질환 산정특례 대상 질병에 해당할 경우 등록일로부터 5년간 해당 상병으로 진료 ..
2023.12.05